본문 바로가기
직업,직장

주 40시간 근무 시 209시간 계산

by 낯선공간2019 2023. 7. 2.

목차

    주 40시간 근무 시 209시간 계산 방법 간단 정리

    최근에 개정된 근로기준법에 따라 한 주간의 최대 근로시간은 52시간으로 제한되었습니다. 이는 야근을 많이 해도 주당 52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전에는 주 44시간 근무 시스템이 있었으며, 이 경우 토요일에 반나절 근무를 추가로 하였습니다.

    이제부터는 주 40시간 근무 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1개월 동안 총 근로시간이 209시간이 되도록 살펴보겠습니다. 다음은 계산 방법입니다.

    1. 주 근로시간: 주 40시간
      • 일주일에 5일(주중) 근무하며 하루에 8시간씩 근무합니다. (8시간 × 5일)
    2. 주휴 인정 근로시간: 8시간
      • 일주일 동안 만근을 했을 경우 주어지는 주휴 시간으로, 급여를 받으면서 쉬는 날입니다. 그러나 근무한 날로 간주되어 근로시간으로 계산됩니다.
    3. 한 달 평균 주 단위: 4.3452주
      • 365일을 일주일(7일)로 나눈 뒤, 그 결과를 12달로 나누어 평균 주 단위를 계산합니다. (365일 ÷ 7일 ÷ 12달)

    이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40시간 + 8시간) × (365일 ÷ 7일 ÷ 12달) = 209시간

    따라서, 주 40시간 근무 시 1개월 동안 총 근로시간은 209시간입니다. 소수점 이하 숫자가 나오더라도 편의상 올림 처리하여 계산합니다.

    위의 계산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시간
    주 근로시간 40시간
    주휴 인정 근로시간 8시간
    한 달 평균 주 단위 4.3452주
    월 근로시간 209시간

    주 40시간 근무 시에는 월 평균 209시간을 근로하는 것으로 계산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근로시간을 계산하면 최근 개정된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의 안정적인 근로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주 40시간 근무 시 209시간 계산 방법 간단 정리.

    월 근로시간 209시간 계산 방법 -

    (40h + 8h) × ( 365 day ÷ 7 day ÷ 12 mon ) = 209 Hour

    (40시간(1주당 근무시간) + 8시간(주휴 근무 인정시간)) × (365일(1년)÷ 7일(일주일) ÷ 12개월)

    = 48시간(1주당 근무시간) ×4.3452주(1달 평균 주 단위) × 12(달) = 209시간/월

    소수점 이하로 나온 월 근로시간을 편의상 올림 처리하여 209시간이 됩니다.

    ✔주 근로시간 40시간 = 하루 8시간 근무 기준 주 5일 근무 (8시간 × 5일)

    ✔주휴 인정 근로시간 8시간 = 한 주간 만근 했을 경우 주어지는 주휴 시간, 즉 급여를 받으면서 쉬는 날이지만, 근무한 날로 간주하는 시간

    ✔365 ÷ 7 ÷12 = 한 달에 평균 주일 수 (4.3452주)

    주 40시간 근무 시 209시간 계산 0

    월 근로시간 226시간 계산 방법 -

    (44h + 8h) × (365 ÷ 7 ÷ 12) = 226 hour

    ( 토요일 반나절 근무하던 주 44시간 근무시간 체계 + 8시간(주휴 근무 인정시간)) × (365일(1년)÷ 7일(일주일) ÷ 12개월)

    한 주간 근무시간 52시간 × 한 달 4.3452주 = 226시간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일부 기업에서는 법을 회피하기 위해 꼼수를 부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6시에 퇴근해야 하는데 저녁 식사 시간을 8시로 잡는 등의 행위가 그렇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불법적이며, 실제로는 1시간만 야근해도 야근으로 인정되어야 합니다.

    근로자들은 6시에 퇴근했다고 해도 즉시 저녁을 먹으러 나가지 못하고 계속해서 일해야 합니다. 이럴 경우, 야근 시간에 저녁을 배달받아 15분 안에 빠르게 식사를 합니다. 그 후에 다시 일에 집중하여 10시까지 일을 하게 됩니다.

    실제로 기록상으로는 2시간의 야근으로 기록되지만, 근로자는 4시간 동안 일한 느낌이 듭니다. 이는 현실과 법적인 규정 사이에 간극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이와 같이 어설픈 법은 현실과 괴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은 잘 정비된 근로환경을 위한 법적 개선과 근로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노력으로 해결되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