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한국 F-35 전투기 보유대수 종류, KF-21 공군 F-15K 제원, F-16 가격 FA-50 성능

by 낯선공간2019 2023. 5. 21.

목차

    대한민국 공군은 다양한 전투기 기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운용 중인 전투기 기종으로는 F-4, F-5, KF-16, F-15K, F-35, FA50이 있습니다. 그러나 F-4와 KF-5 제공호를 아직도 사용하고 있는 것인가요?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공군을 언급하면 KF-21을 떠올릴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 KF-21은 양산 단계에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실전 배치는 2025년 이후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전투기를 운용할 수 있는 군으로는 대한민국 군대 중에서 공군만 해당됩니다.

    다른 나라들과 비교했을 때, 미국이나 중국, 영국 등 다른 국가들은 해군을 포함한 여러 군에서 전투기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국군은 항모를 보유하지 않기 때문에 공군이 유일하게 전투기를 운영하는 군이 됩니다.

    대한민국 공군 내에서도 작전 사령부에 속한 공군 전투 사령부 예하 부대에서 전투기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전투기 및 전투공격기의 편성에 대해 언급하자면, 일반적으로 한 대대는 4개의 편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표준적이긴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습니다. 한 편대는 통상적으로 4대의 전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따르면 한 대대는 대략적으로 16대에서 24대의 전투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각각의 전투 비행단과 전비에 배치된 전투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전투기 종류 별 비행단 배치현황

    첫 번째로, 원주에 위치한 제8전투비행단은 FA-50 전투기 2개 대대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예천 16 전비는 FA-50 전투기 1개 대대와 TA-50 훈련기 1개 대대를 갖추고 있습니다.

    세 번째로, 수원에 위치한 제10 전투비행단은 K-4E 전투기 1개 대대와 KF-5E/F 전투기 2개 대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네 번째로, 강릉 제18 전비에는 KF-5E/F 전투기 2개 대대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다섯 번째로, 충주 19 전비는 KF-16 전투기 1개 대대와 F-16 전투기 2개 대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섯 번째로, 서산 20 전비에는 KF-16 전투기 4개 대대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일곱 번째로, 군산 38 전비에는 KF-16 전투기 1개 대대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여덟 번째로, 대구에 위치한 제11 전투비행단은 F-15K 전투기 3개 대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청주 17 전비에는 최신형 F-35A 전투기 2개 대대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우리나라의 각 전투 비행단과 전비는 전투기의 종류와 수에 따라 그 구성이 다르게 되어 있습니다. 더욱이, 각 전투기는 그 자체로도 매우 강력한 전투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이 집단으로 운용될 때 그 진정한 힘을 발휘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각 전투 비행단과 전비는 국가의 방위를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한국 전투기 보유대수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수치는 어느 정도 군사 기밀에 가깝지만, 대략적으로 알 수 있는 정보들로 분석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여러 언론들의 보도를 참조하면, 한국이 보유한 전투기의 대수는 대략 400대 정도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는 확실한 수치는 아니지만, 상당히 근접한 추정치일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 보유대수은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에는 이 수치가 340대로 떨어진 적도 있다고 합니다. 이처럼 전투기 보유대수이 시시각각 변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해하실 수도 있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전투기는 불후의 기계가 아닙니다. 특히 F-4E나 KF-5E/F 제공호와 같이 개발된 지 수십 년이 넘은 기종은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정비와 부품 공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이들 전투기는 때때로 운용 불가 상태에 이르거나, 도태되기도 합니다.

    도태된 기종을 즉시 최신형 전투기로 교체하는 것이 이상적이겠지만, 전투기는 그 가격과 제조 시간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즉시 교체하기가 어렵습니다.

    결국 한국의 전투기 보유대수은 이런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국의 전투기 적정 보유대수을 약 430대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국방력 유지와 국제 안보 환경을 고려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국의 전투기 보유대수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를 가지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 430대의 구성은 고급(High), 중급(Medium), 그리고 저급(Low) 전투기로 나누어집니다. 고급 전투기는 총량의 약 23.3%인 100대를, 중급 전투기는 46.5%에 해당하는 200대를, 그리고 저급 전투기는 30.2%인 130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보유대수은 이보다는 소폭 낮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F-5E/F 전투기의 경우, 그 개발된 시점이 50년이 넘어서 2030년까지 차츰 퇴역 예정이라 합니다. 현재 알려진 F-5 계열 전투기의 보유대수은 대략 80대 정도입니다. 한편 F-5 계열 전투기는 2000년 이후로 약 12대가 추락하는 사고를 겪었습니다. 이는 전투 중이 아니라 평상시 비행 중에 발생한 것이며, 평균적으로 약 2년에 1대의 추락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추락 사고는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은 전투기의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부품 공급과 정비가 어려워지는 문제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Eighteen Walk F-4E Phantom

    한국의 전투기 보유 현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여전히 활동 중인 F-4E 기종이 대략 18대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F-5 및 F-4E 계열의 보유대수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는 군사 기밀에 해당하므로 정확한 숫자를 알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F-16 이후로 도입된 전투기에 대해서는 국회와 언론을 통해 도입 전부터 정보가 공개되었기 때문에, 그 보유대수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F-16 전투기는 대략적으로 150~170대 정도로, 한국에서 제조가 가능하고 부품 공급도 원활하여, 그 유지 및 운용이 상대적으로 용이합니다.

    한편, 우리나라의 주력 고급 전투기인 F-15K는 정확히 59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초기에 61대를 수입했지만, 2대가 추락한 사고로 인해 현재는 59대가 운용 중입니다.

    또한, 최신형 스텔스 전투기인 F-35A는 총 40대를 수입하여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산 경공격기인 FA-50은 총 60대가 운용되고 있으며, FA-50으로 개조 가능한 TA-50이 20대 보유 중입니다.

    이런 정보들을 토대로, 한국의 전투기 보유대수은 순수 전투기만을 기준으로 할 경우 350~370대, FA-50까지 포함하면 약 410~430대 정도로 추정됩니다.

    우리나라 전투기 종류

    F-4E 전투기 제원/가격

    전장 62.98ft (19.17m)
    기폭 38.61ft (11.76m)
    기고 16.47ft (5.02)
    자중 30,328Ibs (13.75t)
    최대이륙중량 61,795Ibs (28.02t)
    최대무장적재량 16,000Ibs (7.25t)
    전투 행동반경 683NM
    엔진 General Electric J79-GE-17 터보제트 2기(E형)
    실용 상승고도 54,382ft
    추력 17,900Ibs×2
    최대속도 마하 2.27
    최대항속거리 1,718NM (약 3,180km)
    고정 20mm M61A1 기관포 (640발)(E,EJ,F형)
    건포드 M12/SUU-16/A, M25/SUU-23/A, Mk4 HIPEG
    공대공 미사일 AIM-9 사이드와인더, AIM-7 스패로우AIM-120 암람(독일군, 그리스군의 개량형)
    AAM-3 (일본자위대), Python-3 (이스라엘군)
    공대지 미사일 AGM-12 불펍, AGM-62 월아이, AGM-65 매버릭AGM-45 슈라이크 (와일드 위즐로 개조된 기체들)
    AGM-78 스탠다드 암 (와일드 위즐로 개조된 기체들)
    AGM-88 HARM (G형)
    AGM-142 팝아이(한국군, 터키군 소속 E형)
    폭탄 M-117, M-118, Mk 80계열 등의 통상 무유도 폭탄페이브웨이 1/2
    CBU 계열, Mk20로크아이 등의 확산탄
    B61, B43 등의 핵폭탄
    기타 외부 무장 페이브 스파이크(PAVE SPIKE) 목표 지시기페이브 택(PAVE TACK) 목표 지시기
    페이브 나이프(PAVE KNIFE) 목표 지시기
    AN/ALQ-87/88K/101/119/130/131 전자전 포드
    370갤런 외부 연료탱크 최대 3기
    레이더 AN/APQ-99/100/120AN/APG-59/65/66
    하드 포인트 최대 8,480 kg (18,650 Ibs) 무장 및 외부 연료탱크 적재 가능

    F-4E 팬텀 II 전투기의 가격에 대해 따지고 보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이런 이유는 무엇이냐면, 이 기종은 도입한 지 50년이 넘어선 상태로, 감가상각이 이미 완전히 진행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도입 당시의 비용에 비해 현재의 가치는 매우 낮아진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종은 그동안의 운용 기간 동안 수많은 임무를 완수하며 그 가치를 충분히 증명해 내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F-4E 팬텀 II는 그 투자 대비 효용성 면에서 충분히 본전을 건지고도 남은, 매우 가치 있는 기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KF-5E/F 제공호 전투기 제원 및 가격

    F-5E 전투기의 가격을 조사하면, 이제는 생산이 중단된 이 기종의 당시 가격이 약 210만 미국 달러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환율로 환산해 보면, 그 가격은 대략 27억 원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이 기종의 도입이 수십 년 전에 이루어진 것을 감안하면, 현재 그 가치를 단순히 당시 가격으로 평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을 고려하면 실제 가치는 훨씬 낮아질 것이며, 이는 전투기가 계속해서 운용되며 겪는 부품 교체와 수리, 유지보수 비용 등을 반영하는 것입니다.

    한편, 현재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F-5E 전투기의 수는 대략 80대 정도로 추정됩니다. 이는 수십 년간 운용되며 군사 임무를 수행한 결과이며, 도입 당시 대비하여 일부 기체가 운용 중지되거나 사고로 인해 손실된 것을 반영한 수치입니다.

    F-5 프리덤 파이터 / 타이거 II
    제원 F-5E
    전장 14.45m
    전폭 8.13m
    전고 4.08m
    자체중량 4.4t
    최대이륙중량 11.2t
    최고속도 마하 1.6
    실용상승한도 15,800m
    전투행동반경 1,405km
    항속거리 3,700km
    엔진 J85-GE-21B 터보제트 (3,500/5,000lbs) 2기
    항전장비 AN/APQ-153 레이더(최대탐지거리 약 42km)AN/APQ-159 레이더(후기형)
    ASG-29 광학조준기
    RWR(레이더 경보장치)
    무장 M39A3 20mm 기관포 2문AIM-9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자유낙하폭탄
    지상공격용 로켓
    생산대수 1,399

    KF-16 전투기 제원 및 가격

    F-16C/D 블록 40 기종은 1986년에 처음으로 한국에 도입되었습니다. 그 이후, 1994년부터는 KF-16을 라이선스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총 120대를 생산했습니다.

    그리고 2003년에는 F-16 블록 50/52 기종을 20대 추가로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사고와 함께 이런저런 이유로 손실된 기종이 있어, 현재 운용 중인 F-16의 총 수는 166대입니다.

    KF-16 Elephant Walk in kunsan airport

    F-16 전투기 가격은 물가 변동과 기종의 업그레이드, 거래 규모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동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이 처음 F-16을 도입했을 때의 가격은 대략 450억 원이었지만, 최근 불가리아에 판매된 F-16V의 가격은 2100억 원을 상회하였습니다. 이런 비교를 통해 볼 때, F-16 전투기의 가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히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F-16 제원

    General Dynamics / KAI KF-16C/D 제원
    개발사 제너럴 다이내믹스
    제조사 삼성항공/KAI
    승무원 1명, 2명
    전장 15.06 m
    전폭 9.96 m
    전고 4.88 m
    익형 NACA 64A 204
    익면적 27.87 m²
    익면하중 431 kg/m²
    공허중량 8,570 kg
    탑재중량 12,000 kg
    최대이륙중량 19,200 kg
    내부연료탑재량 3,200 kg
    엔진 Pratt & Whitney F100-PW-220 터보팬 엔진 ×1기
    Pratt & Whitney F100-PW-229 EEP 터보팬 엔진 x1기
    엔진출력 각 76.3 kN (17,800 lbf), 재연소(AB) 127 kN (29,160 lbf)(F-16PBU는 엔진이 달라 최대추력 14,590 lbf, 재연소(AB) 23,770 lbf)
    최대속력 마하 2.02
    전투행동반경 550 km
    페리항속거리 4,220 km
    분당상승률 50,000 ft/min (254 m/s)
    실용상승한도 15,240+ m
    추력대비중량비 1.095
    최대중력하중계수 +9/−3G
    항전장비 레이더 AN/APG-68v5 ~ v7 (F-16PBU, KF-16)AN/APG-83(V) SABR AESA 레이더 (KF-16U)
    ECM ALQ-88/200K ECM 포드
    RWR AN/ALR-69
    목표추적장비 LANTIRNAN/AAQ-28(V)4 LITENING 타겟팅 포드
    경보 / 대응장비 SUU-42A/A 채프/플레어 사출기AN/ALE-40(V) CDF
    하드포인트 총 11개소 (주익 끝 2기, 주익 하부 6기, 동체 하부 3기)총 7,700 kg의 무장 탑재
    무장 고정 20 mm M61A1 6열 기관포 x1기512발
    로켓 LAU-61 19발 or LAU-68 or 7발 런처 x4기
    Hydra 70 70mm 무유도 로켓 or APKWS II 유도 로켓 탑재
    LAU-5003 19발 or LAU-10 4발 런처 x4기
    CRV7 70 70mm 무유도 로켓 탑재
    폭탄 일반 항공폭탄GBU-39 SDB
    레이저 유도 폭탄
    JDAM
    CBU-105 WCMD
    스파이스 2000
    미사일 AIM-9 사이드와인더AIM-7 스패로우
    AIM-120 암람
    AGM-65 매버릭
    AGM-88 HARM
    AGM-84 하푼
    기타 외부 무장 동체 하부 하드포인트 3기에 외부 연료 탱크 3기
    DB-110 EO/IR 포드

    F-15K 전투기 제원 및 가격

    한국이 처음으로 F-15K를 도입했을 때, 그 가격은 기체 가격만으로도 f-15 전투기 가격은약 900억 원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가격에는 무기나 기술 이전, 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이들이 모두 포함된 가격을 생각하면, 대당 가격은 대략 1250억 원 정도로 추정됩니다.

    F-15K Elephant Walk in K2 airport

    하지만 지금과 같이 물가 상승이 심한 시기에는, 이러한 가격 역시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최근 F-16V가 2100억 원에 거래된 것을 보면, 현재의 F-15S 가격은 적어도 그 이상일 것으로 보입니다.

    전투기의 가격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 상황에 따라 크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실제 거래가 이루어져야 정확한 가격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F-15K의 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59대입니다. 이는 도입한 61대 중 2대가 사고로 손실된 결과입니다. 이러한 사고는 비행기의 운용과 관리에 있어 중요한 이슈로 작용하며, 이를 통해 우리는 어떤 전투기를 도입하고 운용하는 데는 그에 따른 관리와 유지 비용이 함께 따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F-15 전투기 제원

    Boeing F-15K Slam Eagle F-15전투기 제원
    형식 F-15K
    분류 다목적 전폭기
    개발사 Boeing Defense, Space & Security
    제조사 Boeing Defense, Space & Security
    승무원 2명
    전장 19.43 m
    전폭 13.05 m
    전고 5.63 m
    익형 날개 뿌리 NACA 64A006.6날개 끝 NACA 64A203
    익면적 56.5 m²
    익면 하중 530 kg/m²
    공허중량 14,379 kg
    최대이륙중량 36,741 kg
    항속속력 마하 1.2
    최대속력 마하 2.5
    전투행동반경 1,967 km
    페리항속거리 3,860km
    실용상승한도 18,290 m
    상승률 50,000 ft/min (254 m/s)
    엔진 1차 도입분: 제너럴 일렉트릭 F110-GE-129 터보팬 엔진 ×2기2차 도입분: 프랫 & 휘트니 F100-PW-229 EEP 터보팬 엔진 ×2기
    추력대비중량비 0.93
    최대중력하중계수 +9/−3 g
    항전장비 레이더 AN/APG-63(V)1 레이더
    ECM AN/ALQ-135(V) 재머
    RWR AN/ALR-56
    IFF AN/APX-76 or AN/APX-119
    목표추적장비 AAS-41 IRST 포드AN/AAQ-13 LANTIRN 항법 포드
    AN/AAQ-14 LANTIRN 타게팅 포드
    AN/AAQ-33 Sniper XR 타게팅 포드
    경보 / 대응장비 AN/ALQ-128 EWWSALQ-135 ICS
    AN/ALE-45(V) CDF
    하드포인트 공대공 무장 총 8개소
    공대지 무장 컨퍼멀 탱크(CFT) 장착시 최대 15개소
    무장 고정 20 mm M61A2 기관포 1문501발
    공대지 또는 공대함 항공기 일반 폭탄클러스터 폭탄
    GBU-39 SDB
    레이저 유도 폭탄
    JDAM
    AGM-65 매버릭
    AGM-84 하푼
    AGM-84H/K SLAM-ER
    KEPD 350 타우러스
    공대공 AIM-9X 슈퍼 사이드와인더 (최대 4발)AIM-7M 스패로우 (최대 4발)
    AIM-120B 암람 (최대 8발)
    기타 외부 무장 주익 파일런 및 동체 하부 하드포인트에 각각 600갤런(=2,300L) 외부 연료 탱크 장착 가능

    F-35A 전투기 제원 및 가격

    2018년 도입당시 F-35 전투기 가격은 약 8920만 달러로, 현재 환율을 기준으로 약 1074억 원 정도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f-35 전투기 가격은 구매량이나 추가 선택사항에 따라 변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큰 규모의 주문이 들어올 경우에는 대량 구매 할인이 적용되어 가격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F-35 elephant walk

    F-35A는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스텔스 전투기로, 총 40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전투기 편성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고등 항공 전술 능력을 제공합니다. 스텔스 기능은 적의 레이더에서 탐지하기 어려운 비행체를 의미하며, 이로 인해 F-35A는 적 기지에 스스로 침투하거나, 적의 방어망을 뚫고 공격하는 데 있어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전략적 목표물 공격이나 선제공격과 같은 특수한 임무 수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F-35A 제원 및 성능

    Lockheed Martin F-35 Lightning II
    형식 F-35A
    분류 다목적 전투기
    주 운용 플랫폼 육상 공군기지
    조종사 1명
    길이 15.7 m (51.4 ft)
    높이 4.38 m (14.1 ft)
    날개 길이 10.7 m (35 ft)
    꼬리 날개 너비 6.86 m (22.5 ft)
    날개 면적 42.7 ㎡ (460 ft²)
    자체 중량 13,290 kg (29,300 lb)
    내부 연료 중량 8,278 kg (18,250 lb)
    무장 탑재량 8,160 kg (18,000 lb)
    기본 내부 무장 25 mm GAU-22/A 4열 기관포 x1AIM-120 AMRAAM x2
    2,000 lb GBU-31 JDAM x2
    최대 이륙 중량 31,751 kg (70,000 lb) 급
    엔진 P&W F135-PW-100 터보팬 x1
    최대 추력 28,000 lbf (128 kN) x1
    재연소 추력 43,000 lbf (191 kN) x1
    호버링 추력 -
    최고 속도 마하 1.6
    전투 행동 반경 1,093 km (>590 nm)
    항속 거리 2,200 km (>1,200 nm)
    상승 한도 15,000 m (50,000 ft) 이상
    중력 가속도 한도 9.0 G
    항전장비 레이더 AN/APG-81AN/APG-85[블록4]
    TGP AN/AAQ-40 EOTS
    MAW AN/AAQ-37 DAS
    전자전 체계 AN/ASQ-239 Barracuda
    통신 AN/ASQ-242 CNI 복합 체계
    장착 가능 무장 폭탄 GBU-31/32/38/54 JDAMGBU-10/12/16 페이브웨이
    GBU-39 SDB
    GBU-53/B 스톰브레이커[블록4]
    AGM-154 JSOW
    Mark 80 시리즈
    Mk 20 록아이 II
    Mk 77
    CBU-105 WCMD
    B61 Mod12
    미사일 공대공 AIM-9X 사이드와인더AIM-120C AMRAAM
    AIM-132 ASRAAM
    MBDA 미티어[블록4]
    AIM-260
    공대지 AGM-88G AARGM-ER[블록4]AGM-158 JASSM
    SPEAR 3[블록4]
    AGM-179 JAGM
    JSM[블록4]
    Storm Shadow
    공대함 AGM-158C LRASM

    KF-21 보라매 제원 및 가격

    KF-21 전투기는 한국의 기술 발전을 대표하는 소중한 무기로 간주되며,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5번째 기체까지 만들어진 것이 확인되었으나, 아직 본격적인 납품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인도네시아와의 합작 프로젝트였지만, 지금은 인도네시아의 연체 상태로 인해 일부 지연되고 있습니다. 그들이 지불해야 할 총금액인 8조 원 중, 지금까지 5000억 원 정도만 지불했다는 것이 현재의 상황입니다.

    KF-21 전투기 가격은 생산량에 따라 상당히 변동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대량 생산이 이루어진다면 전체적인 가격이 내려갈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KF-21 보라매 프로젝트의 경우, 총 120대에 대한 계약금액이 8조 5천억 원으로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KF-21 전투기의 가격은 대략 710억 원 정도로 예상됩니다. 이 kf-21 보라매 가격은 한 대당 가격이며, 전체 계약 가격에 포함된 요소들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KF-21 전투기 제원

    분류 정보
    크기 전장 16.9 m, 전폭 11.2 m, 전고 4.7 m, 날개면적 46.5 ㎡
    중량 자체중량 12,000 kg 최대이륙중량 25,600 kg
    내부연료탑재량 5,500 kg
    엔진 제너럴 일렉트릭 F414-GE-400K 2기
    레이더 한화시스템 AESA 레이터
    최대추력 14,770 lbf (57.8 kN) x 2
    재연소추력 22,000 lbf (97.9 kN) x 2
    최대속력 2,234.9 km/h (마하 1.81)
    항속거리 2,900 km

    FA-50 elephant walk

    말레이시아에 18대의 FA-50을 공급하는 계약의 금액이 약 1조 2천억 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각 기체당 약 675억 원으로 계산됩니다. 이 가격은 공중급유 장치의 설치, 추가적인 무장포드의 부착, 그리고 말레이시아 공군의 무기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위한 항공전자 장비의 개발 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조적으로, 한국 공군에서는 FA-50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 차이는 주로 개발 비용과 추가 장비의 차이 때문입니다. 한국 공군에서는 FA-50을 직접 개발하고 생산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항공전자 장비 개발 비용이 들지 않았으며, 기존에 FA-50을 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추가적인 장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한국 공군에서는 FA-50을 말레이시아에 판매된 가격보다 훨씬 저렴하게 운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